38장 上德不德 상덕부덕 - 최상의 덕은 덕이라고 하지 않으니
"최상의 덕은 덕이라고 하지 않으니 이 때문에 덕이 있다.
최하의 덕은 덕을 잃으려 하지 않으니 이 때문에 덕이 없다.
최상의 덕은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서 (무엇을) 위하여 하는 것도 없다.
최하의 덕은 그것을 행하는데도 작위에 둔다.
최상의 인은 그것을 행하는데도 작위에 두지 않는다.
최상의 의로움은 그것을 행하는데도 작위에 둔다.
최상의 예는 그것을 행하는데도 아무도 그것에 응하지 않으면 팔을 걷어붙이고 억지로 끌어당긴다.
그러므로 도를 잃어버리고 나서야 덕이 있고,
덕을 잃어버리고 나서야 인이 있으며,
인을 잃어버리고 나서야 의가 있고,
의를 잃어버리고 나서야 예가 있게 된다.
예라는 것은 충심과 믿음이 옅어진 연후에 생긴 것이며 혼란의 시작이 된다.
(근거 없이) 앞서서 인식한다는 것(前識)은 도의 꾸밈(道之華)이요 어리석음의 시작이 된다.
그래서 대장부는 그 중후함(상덕)에 처신하며 그 경박함(하덕)에 머물지 않는다. 그 열매에 처신하며 꾸밈에 머물지 않는다. 그러므로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취하는 것이다."
38장은 도경과 덕경으로 나누어진 도덕경 구성상 덕경의 시작인 장이다. 덕경의 시작이기에 참된 덕(상덕上德)과 그렇지 않은 가짜 덕(부덕不德)에 대해 설명하고, 더 나아가 공자의 가르침인 인의예仁義禮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
여러번 반복하지만 도는 만물의 근원이다. 만물이라고 표현하면 물질에만 해당되는 것 같지만 물질보다 상위의 영적인 모든 존재들을 포함하여 근원이 되는 것이다. 근원으로부터 모든 것이 출현하였지만 그것은 형상 이전의 것으로 누구도 보거나 듣거나 느낄 수 있는 성질이 아니다. '도를 도라 부르면 그것은 도가 아니다' 라고 하였듯이 감히 상상하거나 추측할 수도 없다. 상상이나 추측은 이미 형성된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노자가 말하는 덕은 도가 세상에 드러난 구체적인 모습이다. 예컨대 개인적인 자아를 완전히 초월하여 도와 합일한 성인이 있다고 치자. 그의 모든 언행을 비롯해, 일으키는 의지조차도 근원으로부터 나온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바로 이것이 참된 덕이며 상덕上德이다. 큰 흐름으로 순리대로 흘러가 드러나는 세상의 모습, 그 자체가 덕이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듯 하지만 - 무위無爲 - 사건들은 일어난다. 세상은 나름의 방향대로 흘러간다. 이럴 때 인의예지신과 같은 작위作爲와 유위有爲는 필요없다. 반대로 참된 도와 덕이 없으면, 가짜 덕이 판을 치면, 작위적인 인의예지신이 강조되는 것이다.
"최상의 인은 그것을 행하는데도 작위에 두지 않는다.
최상의 의로움은 그것을 행하는데도 작위에 둔다.
최상의 예는 그것을 행하는데도 아무도 그것에 응하지 않으면 팔을 걷어붙이고 억지로 끌어당긴다."
한가지 특이한 구절은 '최상의 인은 그것을 행하는데도 작위에 두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 아래 의과 예는 작위에 둔다. 노자는 의義과 예禮를 모두 부정하면서 인仁에 대해서만은 무위無爲로 인정하였다는 말일까? 조금은 애매한 부분이라 여겨진다.
원문과 다양한 해석들을 살펴보자.
上仁爲之而無以爲
상인위지이무이위
최상의 인은 그것을 행하는데도 작위에 두지 않는다 - 김원중 역
높은 인은 무위로써 베풀고 - 장일순 역
상급의 어짊을 지닌 사람은 어진 행위를 하면서도 자기가 하는 행위를 의식하지 않는다 - 김학주 역
모두 내노라 하는 노자와 한학의 전문가들이니 대동소이한 번역들 속에서 그 진의를 헤아리고 넘어가면 좋으리라 생각한다. 다만 이 장에서 반드시 이해하고 기억해야 할 대목은 다음의 내용이 분명함은 추호의 의심의 여지가 없다.
덕은 도를 따름으로써 드러나는 것이지, 의식적으로 행하는 것이 아니다.
작위로 세운 인의예지신은 낮은 덕만도 못하다.
- 明濟 전용석
한흐름 마음비움센터 I 한흐름 기명상원
"마음을 비우면 평화 - 어떻게 비울 것인가?" 효과적인 비움의 방편들을 제공합니다
#바른명상 #바른길 #기명상 #마음챙김 #정화 #명상 #수행 #초기불교 #붓다의가르침 #에너지장 #좋은글 #노자 #도덕경
'붓다의 가르침 > [노자이야기] 붓다의 관점으로 풀어 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상으로 풀어 쓴 노자 도덕경(13)] 41장 上士聞道, 勤而行之 상사문도 권이생지 (0) | 2022.10.22 |
---|---|
[노자 도덕경(12)] 40장 反者道之動 반자도지동 - 명상과 불교수행으로 풀어 쓴... (2) | 2022.10.13 |
[노자 도덕경(10)] 37장 道常無爲而無不爲 도상무위이무불위 - 명상과 불교수행으로 풀어 쓴... (2) | 2022.10.04 |
[노자 도덕경(9)] 35장 執大象 天下往 집대상 천하왕 - 명상과 불교수행으로 풀어 쓴... (4) | 2022.10.03 |
[노자 도덕경(8)] 33장 지인자지 자지자명 知人者智 自知者明 - 명상과 불교수행으로 풀어 쓴 (2) | 2022.10.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