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 - 모든 일들은 마음에서 시작되고 끝난다

"중이 고기맛을 알면?" - 불가의 섭생과 살생에 대하여

마법사엘 2022. 10. 4. 23:46
728x90

 

문득 아주 오래 전 까까머리 중학생 때의 일이 어렴풋이 떠오릅니다.

당시 단전호흡을 전수해주셨던 먼 친척뻘 되는 선생님과 어느 여름날 작은 암자에서 복날 닭을 고아먹었던 기억입니다.

분명 머리를 깎으신 출가한 스님이 함께였는데 하나도 이상하게 생각되지 않았습니다.

아마도 어렸던 저의 마음이 관념에 물들지 않았기 때문일까요?

 

지금은 출가스님들이 육식을 하지 않고 채식하는 것을 너무나 당연하게 여깁니다.

스님이 육식을 하면 계율을 어긴 것이 되어 파문 당하고 환속해야 하나? 

저는 출가해본 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지만 아마도 거의 강제적일 거라 생각되네요

(정확히 아시는 분이 계시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만...).

 

아무튼 석가모니 부처님 생존 당시에 그런 계율은 없었다고 합니다.

현대의 모든 스님들은 거주하는 절이 있고 생필품 등을 소유하고서 살아가지만 2,600여 년 전 붓다 재세시에는 출가를 하고 탁발을 한다는 것은 그야말로 '걸식' 과 다름 없었다고 하지요.

그야말로 발우 하나 들고 마을에 들러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먹을 것을 빌어먹는 것이 당연했을 텐데요.

상황이 그렇다 보니 음식을 가릴 처지가 못되었을 겁니다.

 

일례로 부처님 말년에 쭌다 라는 재가신자의 초대로 드셨던 돼지고기 요리가 상해서 심한 배탈과 설사 등이 결국 무여열반에 드시게 되었다고 합니다. 너무 연로하여 몸이 쇠약해지신 상태에서 일어난 일이라 결국 그리되었다지요.

 

결국 육식은 살생이 아니라는 결론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면 우리는 붓다께서 정해주신 살생의 구체적인 정의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지킬 수 있어야겠지요.

어떤 이견도 없이 특정한 생명체의 생명을 빼앗는다면 그것은 살생에 해당됩니다.

타인에게 어떤 대상을 가리키며 저것을 죽여달라거나, 섭생과 관련해서는 죽여서 요리해주세요 라고 시키면 그 또한 살생이 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육고기보다는 해산물을 좋아하는 편인데요. 그러다보니 조개류를 좋아한답니다. 하지만 살생을 하지 않아야겠다고 결심한 후부터는 살아있는 조개나 전복 등으로 한 요리는 먹지 않고 있어요. 

어떤 횟집에서는 수족관에 살아있는 생선을 직접 골라서 회를 떠달라고 하지요. 물고기를 잡아서 회를 뜨는 것이야 그 횟집 사장님이나 요리사겠지만 직접 골라서 저놈을 죽여주세요 하는 일이나 마찬가지니 이 또한 살생이 될 겁니다.

 

하지만 의도하지 않는 것은 살생이 아니라는 일화도 존재합니다.

어느 눈 먼 스님이 걸어가던 중 우연히 개미를 밟아 죽이게 되었답니다. 이 일을 보고 다른 스님들 사이에 논쟁이 일어났지요. 장님 스님이 살생을 한 것이다 아니다 하는 식으로요. 

이 일에 대해 부처님은 '의도하지 않는 일이므로 살생이 아니다' 라고 결론 내려주십니다.

 

아무리 작은 미물도 주의 깊게 살펴보면 자신의 행복을 위해 움직인다는 것, 살아간다는 것을 느끼게 되더군요. 빛을 향해 무조건적으로 나아가는 단세포 생물 같은 것도 빛이 있으면 행복하기에 그럴 겁니다. 비오는 날 길 한가운데로 흘러나온 지렁이는 비가 그치고 해가 나서 뜨겁고 건조해짐에 따라 괴로움에 몸부림 치지요. 아무리 작은 생물, 지능이 낮은 생물도 생물인 이상 행복과 괴로움을 느낄 것입니다. 

 

자타불이 라는 말이 있지요.

본래는 나와 남, 자와 타가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뜻인데요.

서로의 경계를 나눔이 없음이 궁극의 상태라는 것입니다.

 

자비라는 말은 본래 자애와 연민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단어입니다.

자신을 포함해 외부의 모든 존재(불가에서는 중생이라고 지칭하지요)에 대하여 자애로운 마음을 가지고, 또 그들의 깨닫지 못하고 지혜가 없이 무지한 상태를 연민하는 마음으로 대할 때 '지켜야 하는 계율인 살생' 을 넘어서 진정한 자비의 비살생의 의도가 자연스럽게 드러나게 될 것입니다.

 

- 明濟 전용석

한흐름 마음비움센터 I 한흐름 기명상원
"마음을 비우면 평화 - 어떻게 비울 것인가?" 효과적인 비움의 방편들을 제공합니다
#바른명상 #바른길 #기명상 #마음챙김 #정화 #명상 #수행 #초기불교 #붓다의가르침 #에너지장 #좋은글 #자비희사

 

728x90